티스토리에서는 훌륭한 코드 블럭이 있다.
하지만, github에 있는 코드를 Gist라는 기능을 이용해 티스토리 블로그에 코드를 넣을 수 있다.

- 예시: 2021/01/06 - [시각화] - [시각화] 위키피디아를 이용한 워드클라우드 구현(word cloud)
[시각화] 위키피디아를 이용한 워드클라우드 구현(word cloud)
키워드 분석시 많이 쓰이는 방법이 두가지가 있다. (1) 키워드 네트워크 (keyword network) - 한 문장안에 어떠한 단워와 같이 언급되었는지를 확인 - 보통은 뉴스같은데에서 많이 쓰임 (2) 워드클라
databonanza.tistory.com
* GitHub Gist(깃허브 지스트)란
코드, 메모, 스니펫(작은 부분)을 즉시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instantly share code, notes, and snippets.)
준비물: Github 계정
1. Github gist 이동
- 주소는 https://gist.github.com/와 같음
- github에서도 들어갈 수 있다.

2. Gist 작성
- description 작성
- 제목.py (확장자명 필수!! 파이썬 파일은 .py로)
- 내용 작성 후 create secret gist 클릭

3. 코드 임베딩
- 소스코드의 임베딩 코드를 복사하는것

4.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작성
- html로 작성하기


6. 완성
This file contains bidirectional Unicode text that may be interpreted or compiled differently than what appears below. To review, open the file in an editor that reveals hidden Unicode characters.
Learn more about bidirectional Unicode characters
import numpy as np | |
a = [1,3,5] | |
b = [2,4,6] | |
c = a+b | |
print(np.sum(c)) |
* html 코드를 보는법을 알면 더 쉽다!
반응형
'학습 >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색] 티스토리 Bing 검색 등록 (Bing Webmaster Tools) (0) | 2021.02.15 |
---|---|
[블로그] 티스토리 - 구글 애널리틱스 연동하기 (티스토리 통계 믿을만 한가....) (0) | 2021.01.21 |
티스토리 블로그 줄 간격 변경 (odyssey) (1) | 2021.01.05 |
[검색] 티스토리 네이버 검색 등록 (Naver Search advisor) (0) | 2021.01.05 |
[검색] 티스토리 구글 검색 등록 (Google search console) (0) | 202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