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시대의 위기 요인
1. 사생활 침해
- 내용: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목적 외에 활용할 경우 사생활 침해를 넘어 사회&경제적 위협으로 변형될 수 있다.
- 예시: 여행 사실을 트위트 한 사람의 집을 강도가 노리는 고전적 사례 발생, 미국 NSA(National Security Agency)가 매일 17억개의 이메일, 전화통화, 기타 통신 내용 수집 및 저장함
- 해결: 익명화(**표시) 기술, 난수화(x,y표시) 기술
2. 책임 원칙 훼손
- 내용: 빅데이터 기본 분석과 예측 기술이 발전하면서 정확도가 증가한 만큼, 분석 대상이 되는 사람들은 예측 알고리즘의 희생양이 될 가능성도 증가한다.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잠재적 위협이 아닌 명확한 결과에 대한 책임을 묻고 있어 이에 따른 원리를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
- 예시: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 나오는 것처럼 범죄 예측 프로그램에 의해 범행을 저지르기 전에 체포, 자신의 신용도와 무관하게 부당하게 대출이 거절됨
- 해결: 민주주의 국가의 형사 처벌은 잠재적 위협이 아닌 명확하게 행동한 결과에 대해 책임을 물을수 있음
3. 데이터 오용
- 내용: 빅데이터는 일어난 일에 대한 데이터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적지 않은 정확도를 가질 수 있지만 항상 맞을 수는 없다. 또한 잘못된 지표를 사용하는 것도 빅데이터의 폐해가 될 수 있다.
- 예시: 베트남 전쟁때, 맥나마라 장군은 적군 사망자 수를 전쟁의 진척상황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했고, 그결과 적군 사망자 수는 과장돼 보고되는 경향을 보여 결과적으로 전쟁 상황을 오보하는 결과
반응형
'ADP(데이터분석 전문가) > 스터디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과목]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 (0) | 2021.02.02 |
---|---|
[2과목] ETL 개요 (0) | 2021.02.01 |
[1과목] 개인정보 비식별 기술 (0) | 2021.01.31 |
[1과목] 데이터의 이해 - 용어 정리 (0) | 2021.01.31 |
[1과목] 빅데이터의 이해 (0) | 2021.01.31 |